롱테일 법칙은 Chris Anderson의 저서 "The Long Tail: Why the Future of Business Is Selling Less of More"에서 언급한 경제 이론입니다. 대량으로 판매되는 상위 20%의 제품이 아니라 소량으로 판매되는 80%의 제품들이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한다는 이론입니다.
롱테일 법칙의 이해
롱테일 법칙은 판매상품들의 그래프를 그렸을 때 적게 팔리는 상품들이 선의 높이는 낮지만 긴 꼬리(Long Tail) 모양으로 길게 이어지는 모습에서 착안했습니다. 이 롱테일에 있는 모든 제품을 합치면 많이 판매되는 제품들의 판매량을 초과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롱테일 법칙은 틈새 또는 덜 인기 있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대중적이거나 주류 제품에 대한 수요보다 총체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 개념은 온라인 서점인 Amazon.com에서 처음 도입했는데, 1~2부밖에 팔리지 않은 80%의 책 판매량이 잘 팔린 상위 20%의 책 판매량보다 훨씬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결과의 80%가 원인의 20%에서 나온다는 파레토 법칙과 대조되는 개념입니다.
롱테일 법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나 디지털 유통채널에서 발견됩니다. 오프라인 상점에서 소매업체는 선반 공간이 제한되어 있고 수익성의 보장을 위해 가장 인기 있는 제품만 비축해야 합니다. 그러나 Amazon이나 Netflix와 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와 디지털 유통 채널의 등장으로 기업은 이제 물리적 공간의 제약 없이 더 많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 행동이 바뀌어 사람들은 이전에는 사용할 수 없거나 찾기 어려웠던 틈새 제품과 서비스를 찾고 있습니다.
롱테일 법칙 사례
- Netflix
넷플릭스는 DVD-by-mail 서비스로 시작했지만 스트리밍 비디오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엄청난 성공을 하게 됩니다. 오프라인 DVD 대여점 같은 선반 공간의 제한 없이 넷플릭스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결코 판매되지 않았을 많은 틈새 타이틀을 포함하여 다양한 영화와 TV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넷플릭스는 최신 블록버스터 영화를 보고 싶어 하는 일반 시청자부터 잘 알려지지 않은 외국 영화를 찾는 영화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 넷플릭스는 2억 명이 넘는 가입자를 보유한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 Amazon
아마존의 비즈니스 모델은 롱테일 법칙을 기반으로 합니다. 많은 틈새 품목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아마존은 온라인 쇼핑의 최종 목적지로 부리리기도 합니다. 아마존은 또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과거 구매, 검색 기록 및 기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제품을 추천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마존은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고객에게 훨씬 더 많은 틈새 상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인화된 접근 방식은 아마존이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회사 중 하나가 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 음악산업
디지털 음원 배포가 증가함에 따라 이제 인디 아티스트가 대중에게 다가가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습니다. Sound Cloud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아티스트는 레코드 레이블이나 물리적 배포 없이 자신의 음악을 팬에게 직접 업로드하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실험적인 음악음악에서 힙합에 이르기까지 틈새 장르와 하위문화의 붐이 일었습니다. 이러한 장르는 폭넓은 주류에 대한 호소력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지만 열정적인 마니아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롱테일 법칙의 적용으로 인해 틈새 제품과 하위문화의 가치를 인식함으로써 기업과 예술가는 뭔가 다른 것을 찾는 완전히 새로운 고객 시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결론
롱테일 법칙은 틈새시장 및 인기가 없는 제품을 포함하여 다양한 범위의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대한 이점을 설명하는 경제 원칙입니다. 이는 기업이 가장 인기 있는 제품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주류에서 떨어진 수요가 적은 제품에 대한 잠재적인 수요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