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기 쉬운 경제 이야기
반응형

전체 글62

전문직 비자 쿼터(Professional Visa Quota): 전문직의 해외 진출과 기술이민의 가능성_재미있는 사회경제 21세기를 기점으로 세계화가 가속화되며 사람과 기술이 국경을 넘어 더 많이 이동함에 따라 전문직 비자 쿼터 문제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복잡한 이민법을 검토하는 것은 평범한 개인에겐 너무나도 낯선 영역이기에 특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여러 국가에 존재하는 다양한 전문직 비자 쿼터의 종류와 지원자가 직면할 수 있는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전문직 비자 쿼터(Professional Visa Quota)란? 전문직 비자 쿼터는 해당 국가가 특정 국가 또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에게 발급할 수 있는 비자 수에 대한 제한입니다. 이러한 쿼터의 목적은 이민 시스템이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을 원활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국내에 부족한 근로 영역을 보충하기 위함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 2023. 5. 9.
MBTI 성향별 소비성향과 마케팅_재미있는 경제이야기 개인의 성격 특성과 소비자 행동 사이의 교차점은 점점 더 중요한 연구 영역이 되고 있습니다. 소비 성향의 개념과 이것이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MBTI 성향이 소비자 행동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이를 기업이 마케팅 전략에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소비성향이란? 소비성향이란 재화와 서비스에 돈을 쓰는 개인의 성향을 말합니다. 소득, 생활 방식, 성격 특성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다양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격 특성은 개인의 소비 성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란 무엇일까요? MBTI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 2023. 5. 8.
립스틱 효과(Lipstick Effect): 경기침체와 구매 행동 심리의 변화_재미있는 경제 상식 경기가 하락하기 시작하면 소비자들이 사치품과 같은 필수품이 아닌 제품들의 구매도 줄어듭니다. 하지만 립스틱 같은 작은 사치품들의 구매는 오히려 올라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를 립스틱 효과(Lipstick Effect)라고 합니다. 립스틱효과로 본 소비자 구매심리와 경기침체기의 마케팅에 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립스틱 효과란? 립스틱 효과는 여성들이 어려운 경제 시기에 립스틱이나 매니큐어와 같은 작은 사치품을 이전보다 더 많이 구매하는 현상입니다. "립스틱 효과"라는 용어는 2001년 불경기 동안 자신들의 립스틱 판매가 증가한 것을 본 에스티 로더(Estée Lauder)의 회장인 레너드 로더(Leonard Lauder)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불경기가 되자 고가의 사치품을 구매하지 못하는 상.. 2023. 5. 4.
블랙 스완(Black Swan): 예측할 수 없는 사건의 영향과 충격_재미있는 경제 용어 쉽게 이해하기 사회가 더욱 빠르게 변화하는 오늘날. 우리의 삶에 큰 충격을 안겨주는 예기치 못하는 사건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도저히 일어날 수 없을 것 같았고 예견조차 하지 못했던 일들을 '블랙스완'(Black Swan)이라고 합니다. 이 블랙스완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 충격을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블랙스완이란? 검은 백조는 실재하지 않고 상상하기도 힘들다는 의미에서, '실제 존재하지 않는 어떤 것'이나 '고정관념을 벗어난 전혀 다른 상상'을 의미하는 서양 고전의 은유적 표현이었습니다. 하지만 17세기경 호주에서 블랙스완(검은 백조)이 발견되며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던 상황이 실제로 발생하는 것'이란 의미로 바뀌었습니다. 이 용어는 나중에 월스트리트 투자전문가인 .. 2023. 5. 3.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와 사회적 촉진: 집단 역동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_재미있는 사회 용어 사회생활을 하며 우리는 종종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룹으로 일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개개인의 능력에 비해 그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집단의 성과가 개인의 노력 합과 항상 비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현상을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라고 합니다. 반면에 때때로 그룹 작업이 개인의 성과를 향상하는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를 사회적 촉진이라고 합니다.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와 사회적 촉진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룹 역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1900년대 초 프랑스 농업공학자 막시밀리앙 링겔만(Max Ringelmann)의 이름을 따온 것으로 집단의 수가 늘어날.. 2023. 5. 2.
베블렌 효과(Veblen Effect)와 스놉 효과(Snob Effect/백로효과): 과시를 위한 지위가 소비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_재미있는 경제 상식 일부 사람들은 상품의 브랜드나 그 상품이나 브랜드가 가진 독점성 때문에 사치품임에도 엄청난 가격을 기꺼이 지불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을 베블렌 효과(Veblen Effect)라고 하며 이 현상은 지위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현상 중 가장 대표적인 현상입니다. 베블렌 효과와 이에 상응하는 스놉 효과(Snob Effect/백로효과)를 비교하고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소비자로서 우리는 대부분 품질, 가격 및 개인적 선호도와 같은 요인의 조합으로 구매 결정을 내립니다. 그러나 상품이 가진 인지도 때문에 더 큰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과시적 소비 행동은 종종 사회적 지위나 부를 과시하려는 욕구에 의해 유발됩니다. 이 과시적 소비 행동을 설명하는 두 가지 관련 개념.. 2023. 5. 1.
온라인 시장의 성장이 가져온 롱테일 법칙(Longtail law)의 이해_재미있는 경제 상식 롱테일 법칙은 Chris Anderson의 저서 "The Long Tail: Why the Future of Business Is Selling Less of More"에서 언급한 경제 이론입니다. 대량으로 판매되는 상위 20%의 제품이 아니라 소량으로 판매되는 80%의 제품들이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한다는 이론입니다. 롱테일 법칙의 이해 롱테일 법칙은 판매상품들의 그래프를 그렸을 때 적게 팔리는 상품들이 선의 높이는 낮지만 긴 꼬리(Long Tail) 모양으로 길게 이어지는 모습에서 착안했습니다. 이 롱테일에 있는 모든 제품을 합치면 많이 판매되는 제품들의 판매량을 초과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롱테일 법칙은 틈새 또는 덜 인기 있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대중적이거나 주류 제품에 대한 수.. 2023. 4. 26.
인구 보너스/인구 고령화/인구 절벽_재미있는 경제 상식 인구 보너스, 인구 고령화 및 인구 절벽은 현대 사회의 인구 통계학적 추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세 가지 상호 연관된 개념입니다. 이러한 각각의 개념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사회적, 경제적으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인구 보너스(인구 오너스) 인구 보너스는 한 국가의 부양인구(어린이와 노인)에 비해 생산가능인구의 비율이 높을 때 발생하는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보통 급격한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진출 시기에 나타나며 이는 출산율 감소와 사회가 책임져야 하는 노령인구 비율의 감소와 맞물려 더 많은 이들이 노동시장 참여로 인한 생산성 증대와 저축률의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 다른 말로 인구배당효과(Demographic Dividend)라고도 합니다... 2023. 4. 24.
재미있는 경제 상식_오쿤의 법칙은 왜 몰락했을까? 오쿤의 법칙은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M. Okun)에 의해 만들어진 경제성장률과 실업률의 상관관계에 대한 개념입니다. 오쿤의 법칙에 대한 이해와 오쿤의 법칙이 쇠락한 원인에 대해 이야기 쉽게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오쿤의 법칙이란? 오쿤의 법칙은 실업과 경제 성장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경제 이론입니다. 1960년대에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에 의해 만들어진 이 이론은 상당 기간 미국의 경제 자료의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한 관계식입니다. 오쿤의 법칙에 의하면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이 2.5% 성장할 때 실업률이 1% 감소하고 국내총생산(GDP)이 2.5% 하락할 때 실업률은 1% 상승하게 됩니다. 상당히 안정적인 상관관계가 적용되는 이 법칙은 상당 기간 전 세계에서 경제 분석과 정책 수립에 큰.. 2023. 4. 20.
재미있는 경제 상식_무지의 베일(veil of ignorance) 5분 안에 이해하고 아는 척 하기 무지의 베일(veil of ignorance)은 철학자 존 롤스(John Rawls)가 Rawls)가 그의 책 "정의 이론"(A Theory of Justice)에서 소개한 개념입니다. 롤스는 모든 사람이 무지의 베일 뒤에 있다면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가 달성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무지의 베일은 개인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 부, 성별, 인종, 민족, 종교 또는 사회에서 자신의 위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개인적 특성을 알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무지의 베일 실험 무지의 베일 실험은 사회 정의와 공정성의 원칙을 위한 실험입니다. 무지의 베일 실험은 가상의 세계를 기초로 하기에 가정에 의한 사고 실험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모든 구성원이 무지의 베일 뒤에서 완전히 정보를 차단당한 상태에서 새.. 2023.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