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론이란 전략적 상호작용을 하는 상황에서 행위자의 행동을 연구하는 수학과 경제학의 한 분야입니다. 쉽게 말해 자신의 선택결과가 다른 사람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게임이론은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과 같은 분야에까지 점점 더 그 관련성이 높아지고 있고, 협상이나 경쟁, 협력을 포함한 상호작용이 필요한 대부분의 상황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게임이론의 기본 구성요소
플레이어: 게임에서 결정을 내리는 개인 또는 개체
전략: 플레이어들이 할 수 있는 가능한 선택
보상: 플레이어들이 그들의 선택과 다른 플레이어들의 선택 결과에 따라 받는 보상이나 페널티
게임이론의 분류
협력적 게임 이론(Cooperative Game Theory): 플레이어들이 서로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략을 소통하고 조절할 수 있다고 가정
비협력적 게임 이론(Noncooperative Game Theory): 플레이어들이 상호 간 어떠한 의사소통이나 조정 없이 독립적이고 이기적으로 행동한다고 가정
게임이론 중 가장 유명한 실험
죄수의 딜레마: 공범인 A와 B 두 명의 죄수를 별도의 감방에 구금하고 심문하는 상황입니다. 확보한 증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그들의 자백이 필요합니다. 이때 둘 다 자백을 한다면 둘 다 10년의 형량을 받게 됩니다. 한 명만 자백을 한다면 자백을 하지 않은 사람은 30년의 형량을 받고 자백을 한 사람은 석방이 됩니다. 만약 둘 다 자백을 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모두 벌금형만 받습니다. 두 사람 모두에게 최적의 결과는 둘 모두 침묵을 지키는 것이겠지만, 만약 자신의 이익을 위한 선택을 한다면 둘 다 자백을 하고 원래의 형량을 받게 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을 최우선하거나 자신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기에 죄수의 딜레마 실험에서 거의 모두가 자백을 선택하게 됩니다. 지니어스게임 같은 티브이프로에서 주로 다루는 갈등방식입니다.
게임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의 경우 소수 혹은 단일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구조인 과점의 연구가 있습니다. 가격전략이나 생산 수준등을 경쟁사의 조치에 맞춰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대한 연구입니다. 정치학의 경우엔 국제관계나 사회갈등의 해결 투표행동과 정치캠페인 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심리학에선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력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결론
게임이론은 전략적인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 이해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게임이론은 플레이어 상호 간의 합리적 선택을 모델링함으로써 경제뿐 아니라 사회나 정치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높이고 좀 더 나은 방향으로의 정책수립을 위해 꼭 필요한 분야입니다. 게임이론을 공부한다면 개인의 투자나 협상 혹은 갈등의 상황에서 전략과 선택의 우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댓글